- 클라이밍 :
- 벽을 오르는 운동으로 실내, 실외 인공 암벽 등반 / 실제 암벽 등반을 하는 운동
- 볼더링, 리드, 스피드 등의 종류가 있음
- 근력강화, 다이어트에 효과적
< 경기 종류 >
종류 | 설명 | 준비물 |
볼더링 | 높이가 비교적 낮은 벽에서 줄이나 안전장치 없이 올라가며 문제를 푸는 클라이밍. | 볼더링화, 초크, 테이핑용 테이프 |
리드 | 높은 벽에서 줄과 안전 장치를 사용하여 올라가는 클라이밍. 아래에서 클라이머의 줄을 잡아주는 보조자가 필요하다. |
볼더링화, 초크, 하네스(몸에 줄을 매는 장비) 카라비너(줄과 하네스를 연결하는 금속 고리) |
스피드 | 동일한 홀드와 경사로 이루어진 벽에서 빠른 시간내에 버저를 터치하는 기록 단축 형태의 클아이밍. 아래에서 클라이머의 줄을 잡아주는 보조자가 필요하다. |
볼더링화, 초크, 하네스(몸에 줄을 매는 장비) 카라비너(줄과 하네스를 연결하는 금속 고리) |
볼더링
리드
스피드
< 볼더링 규칙 >
취미로 실내 클라이밍을 즐기기 위한 tips!
1. 등반 전 홀드를 보며 루트 파인딩(내가 올라갈 코스를 미리 짜는 것)을 한다.
이때 이미 등반 중인 다른 사람과 코스가 겹칠 경우는 매트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.
충돌로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.
2. 여러 홀 드 중 아래쪽에 Start 표시의 테이프가 붙어있는 홀드를 양 손으로 잡고 시작한다.
이때 발 딛는 홀드는 Start 테이프가 붙어있는 홀드와 같은 색의 홀드를 딛는다.
초록색 홀드에 하얀색 테이프가 표시되어있다. 아래 두 개의 Start 테이프가 붙어있는 곳에 양손을 잡고 시작하며
초록색 홀드만을 이용하여 여 등반한다. 맨 위 Top 표시 테이프가 붙어있는 홀드를 잡으면 등반 성공.
클라이밍 장에 따라 난이도 표시 색은 다르다
3. 같은 색의 홀드를 이용하여 등반을 진행하여 Top 표시의 테이프가 붙어있는 마지막 홀드를 잡은 후 3초간 버티면 성공이다.
4. 내려올 때에는 색깔 상관없이 여러 홀드를 사용하여 조심히 내려온다.
높은 위치에서 뛰어 내릴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.
어쩔 수 없이 뛰어내릴 경우에는 손을 가슴 앞에 모은 후 다리로 착지한다.
착지 시 무릎을 굽혀주며 충격을 흡수하고 이후 엉덩이, 등 순으로 넘어지며 충격이 고루 퍼지도록 한다.
손을 바닥에 짚을 시 부상의 위험이 매우 크다.
< 홀드 종류 >
종류 | 특징 | 사진 |
저그 | 크고 잡기 쉬운 홀드. 시작이나 마무리 홀드 또는 휴식 시 사용. 초보자가 잡기 편한 홀드. |
![]() |
크림프 | 작고 폭이 좁은 홀드로 손 끝을 사용하여 가장자리를 잡아야 함. 홀트 컨트롤의 정밀도와 제어가 필요한 기술적인 경로에 사용. |
![]() |
핀치 | 물건을 집듯 잡아야 하는 홀드로 그립력을 요구함. | ![]() |
슬로퍼 | 미끄러지기 쉬운 홀드로 평평하거나 볼록한 경우가 많다. 손바닥 전체를 사용하여 잡아야 한다. |
![]() |
포켓 | 한 개 이상의 손가락을 넣어야 하는 홀드로 깊이와 크기에 따라 사용 할 손가락의 개수가 다르다. 손가락 근육과 관절에 부담이 크며 부상 위험이 가장 높다. |
![]() |